<책 소개> 제주도에서 시를 쓰고 있는 시인이 제주도의 자연을 바탕으로 들려주는 초인에 대한 삶의 의지를 시간과 공간의 시학으로 들려줍니다. <출판사 서평> 인간에게 시간은 그냥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퇴적되는 것이다. 그 퇴적의 시간은 경험이라는 이름으로 지나간 것들 속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내어 미지의 시간에 대해 길을 제시하기도 하고 해답을 주기도 한다. 시간이 축적되어갈수록 인간은 예전에 보지 못하고 깨닫지 못했던 것과 한쪽의 이념이나 사상에 치우쳐 이해했거나 알게 된 것들을 새롭게 작성하기도 하고 보지 못하고 지나쳤던 것을 세월이라는 무형의 공간 속에서 찾아내게 된다. 그것은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큰 의미의 되돌아봄일 수도 있고 하나의 시간을 토막 내어 하나의 공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전체적인 자신의 삶을 아우르는 퇴적의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이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든지 인간이 시간을 그냥 흘러가는 존재, 과거의 기억으로만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동물과 인간과의 차이를 구분하는 확실한 증거가 된다. 인간이 가지는 시간의 퇴적은 육체가 쇠퇴해지는 것에 반비례하여 영적 기운은 더욱 상승하여 보이지 않던 것을 보게 되고, 느끼지 못하던 것을 느끼게 되고 말하지 못하던 것을 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그냥 느낌만으로 깨달음만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하나의 역사로 기록하여 남겨 놓아 세상의 빛이 되고 소금이 되는 일을 하는 사람이 시인이다. 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을 관통하는 시안과 시간을 넘나드는 사유와 낱낱의 사건과 사물을 하나의 큰 틀로 만들어 내는 능력은 이러한 시간의 퇴적 속에서 건져 올리는 지난한 작업이지만, 그 고된 작업의 수고가 있기에 더욱 빛을 발하여 인간 세상에 없어서는 안 될 역사가 되는 것이다. 김수호 시인의 역사가 될 <노인과 눈> 역시 시인의 작은 역사 하나하나를 새롭게 규명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고된 작업을 통하여 큰 역사를 이루는 하나의 고리로 우리 앞에 그 면목을 들어내고 있습니다. 큰 역사는 밀알 같은 개인의 작은 역사가 밑그림이 되어 그것들이 모이고 모여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김수호 시인의 <노인과 눈>은 개인의 역사이기는 하지만 더 미루어 보면 이 시대 큰 역사에 속하는 하나의 장인 것입니다. <노인과 눈>을 이루고 있는 시 편 역시 각각의 개성을 가지고 따로 그 존재의 의미를 하고 있지만, 종래에는 김수호라는 역사를 총체적으로 규명하고 규정하는 하나의 분자로써 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시인 소개>
김수호 1940년 제주 한림읍에서 출생 2010년 1월 월간 한비문학 시 부문 등단 <작품 소개>
노인과 눈
첫눈 내리면 함박눈 내리면 설렌다 강아지처럼
밤새 소복 단장한 공원으로 노인은 산책을 나선다
미끄러지면 크게 다치겠지 잘못하다 영영 갈 수도 있어, 그래도
걷는다 눈길에 끌려 먹잇감에 다가가는 고양이처럼 |
덧쓰는 일기장
무얼 더 쓸 게 남았다고 새삼 깨끗한 백지만 찾겠나 색 바랜 지난 삶의 일기장 물정 모르고 잘못 쓴 것투성이지만 지워도 남는 연필 자국 잘못 손대다 찢어지면 허망하겠지 잉크나 볼펜 쓰던 시절은 화이트로 몇 줄 지운다 쳐도, 어차피 온 장 고치는 건 무리일 터 그 위에 더 굵고 진한 매직펜으로 요점만 덧쓰는 게 좋겠지 어릴 적 할아버지 앞에서 신문지에 붓글씨 연습하듯이
|
|